블록체인 기술은 게임 아이템의 소유와 교환 방식에 큰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보입니다. 게임 내 자산의 교환을 위한 안전하고 분산된 플랫폼을 만들어 소유권과 거래기록을 공공 장부에 기록하고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아이템의 진위와 희귀도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자산의 가치를 높이고 사기와 위조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사례
NFT(Non-Fungible Token)는 게임 산업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대표적인 활용 사례입니다. NFT는 무기나 기타 수집품과 같은 게임 내 아이템 및 아이템의 소유권을 확인시켜 주는 고유한 디지털 자산입니다. 이 토큰들은 이더리움과 같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생성되며, 각각의 토큰에는 진위여부와 소유권을 보장하는 고유 식별정보가 할당됩니다. NFT는 다양한 시장에서 사고팔고 거래할 수 있으며, 그 가치는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됩니다. 지금까지는 특정 게임이나 플랫폼 내의 아이템들은 해당 플랫폼 내에서만 한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소유권이 사용자가 아닌 플랫폼에 있었습니다. 사용자들은 사용권만 가지고 있었던 것이지요. 그러나 NFT로 발행한 아이템들은 사용자가 주인이 되고 자유롭게 다른 사용자들과 거래를 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특정 플랫폼이 아닌 여러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진정한 개인의 디지털 자산이 되는 것입니다.
국내에서는 지난 2021년에 위메이드에서 '미르4 NFT'라는 거래소를 공개하였습니다. 위메이드의 게임인 '미르4'에서 사용자들이 육성한 게임캐릭터, 획득한 아이템들을 서로 사고팔 수 있는 거래소입니다. 현재 위메이드의 행보에 여러 가지 제약조건이 있는 상황이 되었으나 앞으로 다른 플랫폼에서도 이와 같은 시도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들 국내 기업들의 세계적인 역량은 국내에서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까지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사용자가 국내에 한정되지 않는 만큼 이 같은 거래소 서비스를 해외에도 적용하고자 시도를 하고 있으며 그렇게 되면 게임 아이템뿐만 아니라 각종 디지털 자산을 거래할 수 있는 강력한 서비스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많은 기업들이 앞다투어 거래소를 만들고자 하고 있습니다.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게임 플랫폼인 액시 인피니티에서 플레이어들은 액시라고 불리는 독특한 생물을 번식시키고, 싸우고, 거래할 수 있습니다. 이 생물들은 NFT로 전환되며, 이더리움 블록체인에 소유권과 거래가 기록됩니다. 이 플랫폼은 상당한 성장세를 보이며 유저 커뮤니티가 활기를 띠고 있어 게임 산업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으며 가상경제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또 다른 예로는 사용자가 콘텐츠와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고, 경험하고, 수익화할 수 있는 가상 세계인 디센트럴랜드가 있습니다. 분산형 NFT를 사용하여 토지, 게임 및 기타 자산과 같은 가상 아이템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들 아이템은 디센트럴과 마켓플레이스에서 사고팔고 거래할 수 있으며 소유권과 거래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에 기록됩니다. 로블록스도 빠질 수 없지요. 로블록스에서 각 사용자들은 자신들이 직접 만든 게임을 다른 사용자에게 서비스하면서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게임을 수행할 때 각종 아이템들 뿐만 아니라 해당 게임을 만든 사용자에게 돌아가는 대가는 NFT 기술을 빌려 투명하고 안전하게 전달됩니다. 유튜브나 블로그 등의 콘텐츠로만 창작활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게임 아이템들을 창작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크리에이터들도 증가하기 시작하면 매력적인 아이템들을 만들기 위한 노력들이 매우 증가할 것이고 이러한 현상들로 인해 새로운 시장이 본격적으로 탄생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는 플레이어가 독특한 가상의 고양이를 기르고 분양받을 수 있는 게임인 CryptoKitties가 있습니다. 각 크립토키티의 소유권은 이더리움 블록체인에 NFT로 기록되며 유저는 자신의 고양이를 사고팔고 다른 유저와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고양이의 옷이나 액세서리 등 이들 아이템까지 함께 거래가 가능한 것이지요. 약 25년 전쯤 유행했던 '다마고치'라는 장난감을 기억하시는 세대들도 있으실 겁니다. 작은 장난감 게임기에서 '다마고치'를 키우는 게임인데요, 사례로 언급된 CryptoKitiies는 다마고치와 같은 형태에서 진화하여 자신이 키운 다마고치를 친구들에게 자랑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사고팔 수가 있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인기가 사그라든 지 오래된 게임들 중 크리에이터들이 활약할 수 있는 알맞은 것들이 꾀 생각납니다. 예전에 아이폰으로 스머프 빌리지 게임을 한참동안 했었는데요. 스머프 농장에서 각종 작물을 키우고 이것으로 돈을 벌어 집도 업그레이드하고 여러 가지 아이템들도 확보했던 기억이 나네요. 스머프 마을에서 키울 수 있는 새로운 농작물이나 설비들, 경작 도구, 집을 꾸미는데 쓸 수 있는 아이템, 경작 효율을 증가시켜 주는 파워 드링크 등 게임을 만든 기업과 크리에이터들이 협업을 통해 다양한 수익원들 추가할 수 있을 겁니다.
결론
이와 같이, 블록체인 기술과 NFT는 게임 아이템의 소유와 교환 방식에 혁신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블록체인 기술은 안전하고 분산된 플랫폼 속에서 게임 속의 내 자산의 가치와 진위성을 보장해 줄 뿐만 아니라 사기와 위조를 방지해 줍니다. 이러한 사례들은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을 통한 게임 산업의 성장과 혁신을 앞당길 것으로 보입니다.
결론적으로, 게임 산업에서의 블록체인 기술과 NFT의 구현은 게임 내 아이템의 교환을 위한 안전하고 투명한 플랫폼을 제공하고 가상 경제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게임 내 아이템을 거래하는 원리를 다른 종류의 재화에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블록체인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체인 기술의 적용 사례 - 9. 탄소 배출권/에너지 거래 (0) | 2023.02.23 |
---|---|
블록체인 기술의 적용 사례 - 8. 정부의 기록 보관 (0) | 2023.02.23 |
블록체인 기술의 적용 사례 - 6. 예술작품 (0) | 2023.02.07 |
블록체인 기술의 적용 사례 - 5. 투표 시스템 (0) | 2023.02.06 |
블록체인 기술의 적용 사례 - 4. 부동산/토지 소유권 관리 (0) | 2023.02.06 |